개회식 9:40~10:00
| | 사회: 한의숭(전남대) 개회선언 및 인사: 정미라(전남대 인문학연구원장) 축사: 김은일 (전남대 부총장) |
Session 1 10:00~12:00 | | 여성주체의 다성적 현장 사회: 이진옥(부산대, 한국여성사학회 부회장) |
| | 3․8 부녀절(여성의 날)의 유입과 인식의 변화 추이 발표: 조상현(전남대) 토론: 임선화(광주교대)
|
| | 미군정기 여성의 정치 참여 확대와 계몽운동의 간극: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의 여성의원 활동을 중심으로 발표: 김수자(이화여대) 토론: 윤정란(숭실대) |
| | 농촌여성의 생존경제에서 돌봄 관계의 변화 탐색: 광주 너브실 마을 두 할머니를 중심으로 발표: 추주희(전남대) 토론: 진명숙(전북대) |
Session 2 13:00~15:00 | | 가족․여성 주체의 성장 사회: 정해은(한국학중앙연구원, 한국여성사학회 부회장)
|
| | 17세기 인조(仁祖)가족의 갈등 양상과 세 여성 주체의 삶 발표: 김지영(서울대) 토론: 이미선(한국학중앙연구원)
|
| | (친)어머니 부재와 '미성년' 딸의 여성 주체성: 한국전쟁기 노근리사건 피해생존자의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발표: 김미선(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) 토론: 소현숙(동아대) |
| | 근세 북부 베트남 여성의 희사(喜捨)활동에 관한 재검토-자파(gia phà, 家譜)와 비문 사료를 중심으로 발표: 조호연(오사카대) 토론: 탁효정(순천대)
|
Session 3 15:10~16:30 | | 여성 주체론의 재구성 사회: 최대희(전남대 인문학연구원) |
| | 이란 여성 작가의 한 계보-포루그 파로흐자드에서 쉬린 네샤트까지 발표: 정희원(서울시립대) 토론: 김지훈(중앙대) |
| | 관계적 주체와 '함께-말하기'의 조건 발표: 류도향(전남대) 토론: 정다영(광주여대) |
종합토론 16:30~17:30 | | 좌장: 김병인(전남대 인문학연구원 부원장) |